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각각 다른 조건의 2개 팀을 놓고, 개인의 집단성과에 대한 공헌도 변화 추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조정경기 실험을 해보면 어떨까? 조정경기 실험은 선수 한 명이 당길 수 있는 힘의 크기를 100으로 하고, 2명, 3명, 8명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힘의 크기를 확인하는 실험으로, 이론적으로는, 2명, 3명, 8명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힘의 크기가 200, 300, 800의 힘이 나와야 한다. 그런데 첫 번째, 조정경기를 해서 이겨도 보상이 없는 A팀의 경우, 2명, 3명, 8명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힘의 크기는 186(93%), 255(85%), 393(49%)이 나오고, 두 번째, 조정경기를 해서 이기면 세계대회 출전권을 주겠다고 한 B팀의 경우, 2명, 3명, 8명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힘의 크기는 220(110%), 345(115%), 960(120%)이 나온다고 한다. A팀의 경우 조정경기에서 특별히 이겨야 할 명분이 없는 친선게임 정도의 수준이다 보니, 선수 각자가 서로 책임감을 크게 느끼지 못해, 팀 전체의 미션수행에 대한 동기가 떨어지기 때문이고, B팀의 경우, 조정경기에서 이기면 세계대회 출전 자격을 가지게 된
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콜금리는 금융기관끼리 남거나 모자라는 자금을 서로 빌려주고 받을 때 적용되는 금리지만, 기준금리는 한국은행과 금융기관 간 거래의 기준이 되는 금리다. 우리나라는 2008년 3월 7일부터 통화정책 금리를 이전 콜금리에서 기준금리로 바꿔 시행하고 있다. 지난 4월 14일 금융통화위원회는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1.25%에서 1.50%로 상향 조정한다고 발표했다. 한국은행 홈페이지에 들어가 최근 기준금리 변동추이를 살펴봤더니, 2021년 5월에 0.50%였던 기준금리가 2021년 8월, 2021년 11월, 2022년 1월, 2022년 4월 4차례에 걸쳐 0.25%씩 오르면서 1년 만에 1.00% 올랐다고 나와 있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추이만 봐도 최근 1년 동안 시중은행의 대출이자가 많이 올랐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며칠 전, 친구와 통화 중에 “친구 아들이 1년 전 빌라를 구입하면서 3.50% 고정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았는데, 지금은 대출이자가 5.85%까지 올랐다“면서, 당시 변동금리로 대출받지 않은 게 다행이라고 했던 말이 생각났다. 이제 한 달 후면 경제를 살리고 민생을 챙기겠다고 공약했던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
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6월 1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 이른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찬반 국민투표 실현을 위한 보완 입법 추진을 강행하면서 갑자기 국민투표가 국민적 관심사가 됐다. 검수완박 국민투표는 민주당의 검수완박 입법 강행 처리에 맞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맞불 차원에서 운을 띄웠지만, 중앙선관위는 '현행 규정상 불가능하다'는 유권 해석을 내놓은 상태다. 이는 재외국민의 국민투표권 행사를 제한하는 내용의 국민투표법 일부 조항이 헌법재판소의 2014년 헌법불합치 결정으로 효력을 잃어 국민투표를 위한 투표인 명부 작성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지난 2018년 6월 13일 지방선거에서 개헌안에 대한 국민투표를 동시에 추진하려 했으나, 이 때문에 무산된 바 있다. 국민투표는 대한민국의 국가적 중대사항을 결정하고자, 국민에게 직접 의사를 묻는 투표로, 간접민주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만들어진 직접민주제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다. 대통령은 헌법 제72조에 의거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외교·국방·통일 기타 국가안위에 관한 중요정책을 국민투표에 붙일 수 있다. 하지만, 정부는 국민투표 사
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사람의 머리에는 눈, 코, 입, 귀의 조화에 따라 모든 사람이 각기 다른 얼굴이 있고, 사람의 손가락 끝마디에는 평생 변하지 않으며 모든 사람이 각기 다른 곡선 모양(무늬)의 지문(指紋)이 있다. 그래서 사람의 신분을 나타내는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에는 얼굴(사진)과 지문이 들어있다. 사람의 후두부에도 모든 사람이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내는 성문(聲門)이 있어, 얼굴을 보지 않고 목소리만 들어도 누군지를 쉽게 알 수 있다. 며칠 전, 문재인 대통령과 손석희 JTBC 전 앵커의 대담이 방영될 때, 내가 TV가 있는 거실에 있지 않고 서재에 있었는데도, 문재인 대통령과 손석희 전 앵커의 대담임을 단번에 알아챌 수 있었다. 내가 문재인 대통령과 손석희 전 앵커의 목소리, 즉 성문(聲門)에서 나오는 소리를 익히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마 우리는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이명박, 박근혜 등 역대 대통령들이 다 나와 대담을 한다 해도 그 목소리만 듣고 누군지를 다 알 수 있을 것이다. 사람마다 성문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미래에는 사람의 신분을 나타내는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에 얼굴(사진)과 지문뿐
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국민학교(초등학교) 다닐 때, 내 짝궁의 별명은 ‘마앤우’였다. 마(馬)씨 성(姓)을 가진 내 짝궁의 어머니의 성(姓)이 우(禹)씨라는 걸 알게 된 친구들이 내 짝궁에게 아버지 마(馬)씨와 어머니 우(禹)씨 성을 따서 만든 ‘말과소’라는 별명을 부르다가, 내 짝궁이 화를 내자 은유적으로 부른 별명이 ‘마앤우’다. 당시 나도 어머니의 성(姓)이 장(張)씨라는 걸 알게 된 몇몇 친구들로부터 아버지 김(金)씨와 어머니 장(張)씨 성을 따서 만든 ‘김앤장(김엔 장을 발라야 제맛) ’이라는 별명을 듣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로펌이자, 최고의 위상을 자랑하는 로펌으로 '로펌계의 삼성'이라고 불리는 법률사무소 김앤장보다 내 별명 김앤장이 먼저 불려졌던 셈이다. 법률사무소 김앤장도 김(金)씨 성을 가진 변호사와 장(張)씨 성을 가진 변호사가 함께 세운 로펌이라고 한다. 내 별명이나 법률사무소 이름이 김씨 성과 장씨 성을 따서 붙여진 김앤장이지만, 김(金)씨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씨고, 장(張)씨는 중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임을 생각해 볼 때, 김앤장이 한국과 중국의 대표성을 가지고 있는 이름이라는 생각도 든다.
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어제 오후 대학 4학년 때 독서실 생활을 같이 했던 친구와 전화 통화를 하면서, 한참 동안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를 나눴다. 대학 다닐 때, 친구와 나는 가정 형편이 어려운 것과 아버님이 일찍 돌아가신 것 외에 성격도 꿈도 같아서 더 친하게 지낼 수 있었다. 그러나 친구와 나는 대학 졸업 후, 상경해서 사회생활뿐만 아니라, 서울생활까지 적응하느라 분주하게 보내야 했고, 그래서 서로 연락이 끊기고 말았다. 그런데 딱 37년 만에 전화가 연결된 친구는 아직도 스타일이 나와 비슷했고 살아온 삶의 무게도 비슷했다. 어제 오후 친구가 나에게 들려준 친구의 이야기가 내 삶의 스토리와 비슷해서 소개해볼끼 한다. 친구는 대학 졸업 후, 모 그룹에 입사하여 5년 정도 직장생활을 하다가, 더 큰 비전을 이루기 위해 사직서를 내고 무역업을 시작했다. 친구는 성공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면서 무역업을 어느 정도 궤도에 올려놓았지만, 사업이 성장할 때마다 필요한 자금이 없어서 곤욕을 치렀고, 매달 말일이 되면 직원들 급여를 마련하러 다니는 게 주업무가 되기도 했다. 그런 친구에게 항상 작은 도움의 손길을 주는 사람은 시골에서 농사짓고 있는 가난한
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A집 아들 세 명] A집 아들 셋이 치킨게임에 나가 승리하여 받은 많은 황금을 부모에게 드렸다. 축배주를 들기 위해 첫째가 술을 사러 갔다. 그는 오다가 술에 독을 탔다. 부모로부터 사랑과 그리고 황금을 혼자 다 차지할 속셈이었다. 첫째가 도착하자 둘째와 셋째가 벌떡 일어나 첫째를 죽였다. 그새 둘은 우승의 영광과 황금을 나눠 갖기로 합의를 보았던 것이다. 둘째와 셋째는 기뻐서 독이 든 술을 나눠 마시고 공평하게 죽었다. 이 소식을 들은 임금은 A집 황금을 빼앗아 지나가던 사람들에게 나눠줬다. 위 이야기는 연암 박지원의 황금대기(黃金臺記)에 나오는 내용을 패러디한 것이다. 황금을 놓고 치킨게임을 한 것 자체가 잘못이지만, 게임에서 승리한 아들 세 명의 마음가짐이 2022년 대한민국 정치권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 이야기다. 역대 정권의 대통령 주변에는 항상 자타가 인정하는 3인방이라는 핵심관계자가 있었다. 최고 권력 주변에 2인방이나 4인방은 없고, 항상 3인방만 있다는 게, 권력에서 1인자가 좋아하는 수 3이 상징하는 바가 큰 것 같다. 대통령의 3인방은 정권 탄생의 일등공신일 뿐만 아니라, 정권 내내 대통령 측근
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가장 효과적인 소통은 전화나 카톡 같이 육신이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하는 소통보다 직접 만나서 서로 얼굴을 바라보며 하는 소통일 것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바쁜 일정에도 시간을 내어 육신과 육신의 만남을 통해 중요한 이해관계를 만들어가기도 하고, 오해나 얽힌 문제 등을 풀어가기도 한다. 그런데 산 사람이 신(神)이나 죽은 사람과 소통할 때는 육신과 육신의 만남을 가질 수 없으니, 산 사람이 신(神)이나 죽은 사람과 진정한 소통을 한다는 게 여간 쉽지가 않다. 그래도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소통은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이 잠자고 있는 묘에 가서 간접적인 만남을 가질 수 있어 진정한 소통이 가능하지만, 평소 본 적도 없는 신(神)과의 소통은 참으로 어렵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신(神)과의 소통을 위해 기도, 묵상, 명상 등의 의식을 만들어, 수천 년 동안 신(神)과 소통을 해왔다. 여기서 눈여겨 볼 것은 사람과 신(神)이 소통하는 방법인, 기도, 묵상, 명상 등의 의식이 모두 눈을 감고 한다는 것이다. 명상(冥想)의 경우, 명(冥)자가 어두울 명으로, 명상 단어 자체에서 이미 눈
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은 똑같은 상황에 처했을 때, 자신과 타인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이중잣대를 비판적으로 일컫는 신조어다. 즉, 남은 비난하지만, 자신에게는 너그러운 사람을 가리켜 내로남불이라고 한다. 내로남불은 1990년대 신한국당 박희태 의원이 공적인 자리에서 처음 사용한 이후, 정치권에서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비판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2020년 교수신문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내로남불을 한자어로 바꾼 신조어 아시타비(我是他非, 나는 옳고, 다른 이는 그르다)를 채택하기도 했다. 당시 아시타비를 추천한 교수들은 그 사유로 조국 사태, 윤석열-추미애 갈등, 코로나19 확산에서 드러나는 문재인 정권의 이중잣대를 들었다. 그제(7일) 박병석 국회의장이 민주당 출신 무소속 양향자 의원을 법사위로, 법사위 소속 민주당 박성준 의원을 기재위로 맞바꿔 사보임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 12명, 국민의힘 6명으로 구성된 법사위가 민주당 11명, 국민의힘 6명, 무소속 1명으로 바뀌었다. 그러니까, 지금까지는 법사위에서 법안을 심사할 때, 여야 3명씩 동수로 안건조정위(6명)가 구성되어 있어, 민주당
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대학 2학년 여름방학 때, 격포해수욕장에 다녀와서 쓴 소설입니다. 지금 읽어보니, 내용이 촌스럽고, 작품성도 많이 떨어진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40년 전 학창시절에 창작한 작품이기에 소중하게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꽤 길기 때문에 점심시간이나 휴식시간을 이용해서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꼽추 지은이 김 삼 기 1982년 여름 따르릉... 이건 분명코 환청이었다. 한 생명이 꿈틀거리기 시작했다. 등이 보기 흉한 굴곡의 꼽추였다. 어둠이 자욱한 새벽 3시 30분, 그는 마치 유령의 옷이라도 입은 듯 무겁고 엄숙한 그의 육신을 어느 해변으로 옮기고 있었다. 그렇다. 그는 지금 아주 불안한 자신의 운명 앞에 도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왜! 꼽추이기 때문일까? 아니면 다른 무슨 이유라도 있단 말인가. 꼽추는 과거를 회상하고 있었다. 물론 그의 발걸음은 한발 한발에서도 의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을 만큼 무겁게 움직이고 있었다. 해변의 정적이 그를 맞아주는 듯 조용했다. 꼽추는 태어날 때부터 비운의 몸으로 태어났다. 그런 까닭에 가족들은 꼽추를 불쌍히 여겨 잘 보살펴 주었다. 특히 어머니는 지극한 정성으로 그의 손발